What lies beneath

빚어내기/생각하기 | 2005/01/21 16:37 | inureyes
지난주 목요일 랩미팅에서 논문 발표를 하고 회식을 다녀왔다.

약간 더 미리 발표일정에 대한 언질이 있었다면, 그리고 시간이 더 주어졌더라면 더 나은 발표를 할 수가 있었으리라는 아쉬움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루던 주제가 아직 물리학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던 주제이다 보니 미리 랩 분들에게 배경지식에 대한 세미나를 했었으면 더 좋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이후에 2차, 3차를 거치며 많은 이야기를 하였다. 홍석이형이 발표하였던 세포 내에서의 Sodium 농도 모델링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파라미터가 증가할 때마다 연구자는 보고 싶은 것을 보게 되도록 속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생물학에서 알려진 식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식의 파라미터는 너무 많아보였다. 하지만 '실험을 대신할 정도'의 시뮬레이터에는 파라미터가 많을 수 밖에 없다. universality에서는 멀어지지만 실험 없이도 실험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게 보았을 때 명원선배의 논문은 간단하면서도 우아해보였다. 대뇌 시각피질을 설명하기 위하여 xy 모델을 사용하였는데, 완전히 독립된 두가지 현상이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원선배는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하였다. 선배는 그 논문 이후에 다른 논문을 내기 위하여 전혀 다른 방향에서 접근해야했다. 같은 현상을 보이는 '이유'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없으면 아무리 좋은 결과를 보이는 이론이라도 물리학에서는 힘을 잃는다. 그 후 이론을 완전히 다른 방향에서 가장 기본적인 법칙들로부터 접근하여 증명하였으며, 결국 메이저한 저널에 출판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물리학은 흔히 환원 또는 구조를 통하여 기본적인 법칙을 보기 위한 학문이라고 불린다. 그 결과로 사람들은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이론이나 양자역학, 복잡계 물리학등 다양한 이야기를 떠올린다. 그러나 그러한 이론들또한 그 아래에 존재하는 어떠한 더 근본적인 법칙의 표상일 뿐이다. 공부하면 할수록 잡힐듯 말듯하지만 물리학 아래에 존재하는 법칙이 있다. 명원선배는 갈 길이 먼 나에게는 느낌으로만 다가올 뿐인 그러한 생각을 박사가 끝나서야 약간은 잡을듯 말듯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least action principle과 parallelism에 관하여 이야기 하였다. 파인만 다이어그램보다 더 바닥에 깔려있는 법칙들과 그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지만 바카디와 발렌타인 커플이 그 이야기들을 열심히 마셔버렸다.


*


2년하고 조금 더 전 여우하품에서 종현과 혁과 함께 물리학의 끝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물리학은 인식이 가능한 세계에 대한 이해를 다루는 학문이다. 그렇지만 '인식 가능한 세상'이 무엇인가? terra incognita의 범위는 통시적으로 결정된다. 역사를 통틀어 인식가능한 세계의 기준은 매우 가변적이었다. 세상은 평평했으며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었고 달에는 토끼가 살고 있었으며 배는 너무 멀리 나가면 폭포에 떨어질 운명이었다. 물리학은 그러한 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많은 시도를 하였다. 그러한 시도의 아귀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몇몇 용기있는 사람들의 도전으로 인하여 인식가능한 세계가 넓어지기도 하였다.

생각을 하거나 공부를 하다보면 어느순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인식가능한 세계는 존재하는 세계와 완전히 같은 의미이다. 그러나 역사안에서의 인류의 인식이 계속 그래왔듯이 실은 인식가능한 세상은 실제 존재하는 어떤 세계의 그림자이다. 그림자가 원래 물체의 모든 속성을 설명하지 못하고 단지 2차원적인 형만을 설명하듯이, 우리가 살아간다고 생각하는 세상도 사실은 실제 존재하는 세상의 겉정보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플로지스톤이 딱딱한 원자가 되고, 텅텅빈 원자핵과 전자의 세상이 되고, 중성자 양성자 중간자들의 세상이 되고, 쿼크가 춤추는 세상이 된다. 아마, 환원론적 세계관의 정점인 쿼크와 그 아래의 초끈마저도 다른 현상의 그림자일 것이다.

그림자 너머에 도달하기 위하여 인간은 수많은 방법을 동원해왔다. 물리학은 세계라는 그림자의 벽을 넘기 위하여 이성과 논리를 방법론으로 동원하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철학은 언어로 수학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지만 물리학과 같은 방법론을 사용한다. 음악, 예술등등 완전히 다른 방법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방법에 상관없이 어떠한 길을 추구하는 모든 행위가 극에 달하면 그림자로의 표상일 뿐인 세계의 벽을 보게 된다. 매트릭스같은 현대적인 은유의 힘을 빌릴 필요도 없다. 그러한 발견은 자신이 추구하는 길이 모여 어느순간 만들어내는 일종의 旽悟이다.

종현은 음악의 보편성과 물리학의 깊이를 이야기했으며 혁은 양자색역학과 양자전기역학과 그 이후를 이야기했고 나는 인식론과 기호학과 물리학의 통사를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아마도 대부분의 '끝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우리가 밟고 있는 길에 그 해답의 단초라도 보이기를 바라며 그 희망을 소주포도주와 함께 마셨다. 길을 걸으며 모든 사람이 다른 방법으로 추구하지만 결과적으로는 같은 결과에 도달하게 되는 그러한 답을 단순히 느낌이 아니라 손안에 그러잡기를 바랬다.


물고기가 바라보는 수면 바깥에는 어떤 세상이 존재할까.
누가 어항에 먹이를 주고 공기펌프를 작동시키는걸까.

세상을 지배하는 법칙 아래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 길에서 한 명을 잃었으되 그 의지는 같이하던 이들에게 남았다.
잘가게나. 내가 만난 누구보다 세상의 본질을 알고 싶어했던 친구여.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5/01/21 16:37 2005/01/21 16:37
트랙백이하나이고 , 댓글 3개가 달렸습니다.
ATOM Icon 이 글의 댓글이나 트랙백을 계속 따라가며 보고 싶으신 경우 ATOM 구독기로 이 피드를 구독하세요.

트랙백을 보내세요

트랙백 주소 :: https://forest.nubimaru.com/trackback/738
  1. [독후감] What lies beneath?

    Tracked from Daybreakin Things 2005/01/31 00:39

    -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를 읽고 -   내가 이 책을 알게 된 것은 경곽 생활의 마지막 룸메이트였던 민균이를 통해서다. 지난 여름방학 때 친구 준호와 함께 The Feynman Le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