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
'은진' 의 약칭. 요술램프를 비비면 나온다는 '진' 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주기적으로 심각한 우울증에 빠지는 것과, 나만큼이나 식사로 뭘 먹을지를 결정하지 못하는 점을 빼면 다 좋은 사람.
(그래도 둘 중에 한 명은 식사 메뉴에 대해 결단력이 있어야 하지 않겠니?)
사진은 믹스가 찍어준 것.
아라비카에서 은진의 연구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왔다. 기존에 정량화 되지 않았던 양을 정량화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었다. 복수 전공이 학문에 도움을 주는 방식은 굉장히 다양하다. 장점이 이것저것 많지만 가장 큰 도움은 생각하는 방법을 두 가지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리학자들이 당연하다거나 굉장히 좋다고 하는 방법과 결과물도 허점 투성이로 보일 때가 있고, 컴퓨터공학과에서 이렇게 접근해서 코딩하거나 이론을 세우자 할 때 그게 한참을 돌아가는 길로 보이기도 한다. 둘 다 이상하게만 만드는 것 같지만, 동시에 각각의 학문에 완전히 다르게 접근하는 길이 되어 주기도 한다.
상담아닌 상담을 하고 있으려니 전산물리 조교를 하던 때가 떠올랐다. 학생들 프로젝트 때문에 일대일 면담을 했었다. 열 팀을 모두 다른 내용으로 면담하려니 굉장히 힘들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의외로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이것저것 잡다하게 들여다 본 연구나 책들이 많아서 알고 있는 것들을 통해서 도와주기도 했었다. 그런데 정말 도와준 것은 그런 것들이 아니라 문제를 '정의' 하고 그 문제에 어떻게 '접근' 해야 하는 방법론이었다.
물리학자의 눈으로 보면 세상에는 모르는 것들 투성이이다. 모든 것들이 '이유'를 알려달라고 외친다. 그런데 공학자의 눈으로 보았을 때에는 그 중 문제로 '정의' 해서 '수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은 굉장히 적다. 하지만 아직 '문제'로 정의되기 힘든 상황에서 물리학자들은 '문제'라고 인식하고 분석을 시작한다. 어떤 시계열이 존재하는 것과 그 시계열에서 의미를 뽑아 내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일이다. "보고 싶은 것을 보는" 것이 통계 물리학의 가장 무서운 점이며, 어떻게든 피해야 하는 점이다. 대상을 분명히 정의하고 거기서 얻을 수 있는 속성을 정확히 끄집어 내는 것은 컴퓨터 공학과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진짜 재미있는 논문은 자주 나오지 않는다. :(1
오늘 나눴던 이야기는 그 점에 대한 이야기였다. 도움이 되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아는 것이 적으니 방법론적 이야기로라도 도움을 주어야...) 그나저나 내 논문은 언제 다 완성하나 걱정이다. 이게 끝도 아니고 쓸거 두 개나 더 있는데.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