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는 독점이 일어나는 시장 구조에 대해 저승에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현실 시장에서 독점이 일어나는 경우는 생각보다 상당히 많다. 그렇지만 강력한 반독점법 때문에 독점이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경우는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 그런데 현실 경제계에 독점의 정도와 그 범위가 너무나 커서 법조차 무시할 수 있는 예가 있다. -Microsoft.

개인용 컴퓨터의 OS시장은 Microsoft가 독점하고 있다. 수많은 대안 OS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예를 들어 오픈소스 진영의 linux나 Mac 머신에서만 돌아가는 MacOS, FreeBSD등등- 그러한 OS들의 점유율은 모두 합쳐도 5%를 넘지 못한다. 과학용 계산 컴퓨터부터 편의점의 계산기까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Embedded Computer의 OS까지 거의 대부분의 컴퓨터는 Windows를 OS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공통된 환경' 이라는 장점을 낳는다. 개발자는 같은 환경에서 쉽게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사용자는 특별히 다시 배울 필요 없이 새로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단일화된 OS가 좋은 것은 아니다. 선캄브리아기 이후 생명은 몇 번의 멸종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멸종의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갑작스런 종의 멸종을 설명하기 위한 몇가지 가설들이 있었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설 중 하나는 '별다른 이유가 없었다' 는 것이다. 사소한 것들 몇가지가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그러한 연쇄반응이 네트워크를 타고 급속도로 퍼져서 종이 순식간에 멸종한다. 어떻게 보면 쉽게 믿기는 힘들지만 네트워크 이론에 의해 도출되는 결론이기도 하다. 이러한 멸종은 종의 개체수가 적을 수록 쉬워진다.

더보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4/07/20 13:03 2004/07/20 13:03
트랙백 5, 댓글 17개가 달렸습니다.
ATOM Icon 이 글의 댓글이나 트랙백을 계속 따라가며 보고 싶으신 경우 ATOM 구독기로 이 피드를 구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