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조조로 장훈 감독의 '영화는 영화다'를 보았다.

감독이 물리학과 출신이었나 생각해 볼 정도로 철저한 대칭 구조가 인상적이었다. 영화의 두 주인공 간의 동질화와 이질화가 일어나는 순간들이 기억에 남는다.

영화가 끝나는 순간 영화의 제목은 세가지 의미를 드러낸다. 극 중 영화배우의 삶은 영화일 수 밖에 없다는 것, 영화처럼 살기를 갈망한 조폭의 삶은 끝내 영화가 될 수 없었고 싸움꾼이 되고 싶은 배우의 삶은 결국 카메라 안에서만 의미가 있었다는 것, 그리고 저 모든 상황과 구도도 강하게 대칭적인 구조를 보이도록 만들어진 영화일 뿐이라는 것. 장자의 호접지몽을 떠올린 사람이 많을 것이다.

굉장히 인상적인 영화였다. 소지섭이 이정도의 배우였나?

 

덧) 끝마무리 화면(ending credit)의 '김기덕 각본' 자막을 통해 추가적으로 납득한 몇가지가 있었다. 예를 들면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에서 보였던 것 같은 작중 인물의 변화와 회귀성을 동시에 다루는 부분이나, 주인공과 여성의 관계를 바라보는 시선 정도.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2008/09/16 01:23 2008/09/16 01:23
트랙백이하나이고 , 댓글이 없습니다.
ATOM Icon 이 글의 댓글이나 트랙백을 계속 따라가며 보고 싶으신 경우 ATOM 구독기로 이 피드를 구독하세요.

트랙백을 보내세요

트랙백 주소 :: https://forest.nubimaru.com/trackback/2041188
  1. (이) 영화는 (무척 재미있는) 영화다

    Tracked from 괜찮지 않지만 괜찮은 밤에 2008/09/18 04:09

    누구나 우려 했을 것이다. 영화 소개에서 내용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김기덕 이라는 이름 때문이다. 일반적인 편견이라면 편견이고 일반인들의 상식이라면 상식이라고 할 만큼, 김기덕이라는 이름은 마초, 지루함, 예술 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사람이 '제작' 에 '시나리오' 까지 했다면 감독이 누구든 상관없이 똑같은 키워드를 가지지 않을까 우려(?)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 생각은 딱 극장에, 혹은 인터넷으로 예매하러 사이트에 접속하기..